본문 바로가기

영화리뷰

(16)
[영화리뷰] 러브 로지 (Love, Rosie 2014) Love, Rosie (러브, 로지) "Love, Rosie"는 2014년에 개봉한 미국의 로맨틱 코미디 영화로, Cecelia Ahern의 소설 "Where Rainbows End"를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등장인물 소개: - Rosie Dunne: 어린 시절부터 Alex Stewart와 친구였던 여주인공. 운명처럼 반복되는 오해와 사건들로 인해 그와 서로의 감정을 표현하지 못하며 삶을 살아간다. - Alex Stewart: Rosie의 어린 시절부터의 벗. 그녀와의 관계를 정리하지 못한 채 다른 나라로 이사 가며 다른 인생을 살게 된다. 줄거리: Rosie와 Alex는 어릴 때부터 서로 옆집에 살던 둘은 가장 친한 친구로 자라나게 된다. 그들의 관계는 순수한 우정 그 이상, 그 이하도 아닌 복잡한 감정..
[영화리뷰] 원데이 (One Day, 2011) 제목: 원데이 (One Day, 2011) 개요: "원 데이"는 데이비드 니콜스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한 론 세르피그 감독의 2011년 개봉작으로 로맨틱 드라마 영화다. 이 영화는 엠마 몰리(앤 해서웨이)와 덱스터 메이휴(짐 스터지스)라는 두 인물의 삶을 중심으로 전개되며, 대학교 졸업식으로부터 20년에 걸친 두 사람의 우정과 뒤늦은 사랑에 대해 보여준다. 에피소드: 주인공인 엠마 몰리와 덱스터 메이휴가 에든버러 대학교를 졸업하는 날인 1988년 7월 15일부터 시작된다. 극 E와 극 I의 성향을 가진 사람은 이 날 밤에 끈끈한 유대감을 형성한다. 엠마는 작가가 되겠다는 꿈을 가진 지적이고 야심차며 다소 내성적인 여성인 반면, 덱스터는 매력적이고 부유하며 미래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이 없는 부유한 집에서..
[영화리뷰] 벤자민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 (The Curious Case of Benjamin Button, 2009) 제목: 벤자민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 (The Curious Case of Benjamin Button, 2009) 개요: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란 영화는 2008년에 개봉한 판타지 드라마 영화로, 데이비드 핀처 감독의 작품이며 우리나라엔 2009년에 개봉된 1922년 F. 스콧 피츠제럴드의 동명 단편 소설을 원작으로 한 영화입니다. 이 영화는 생체 시계가 거꾸로 작동하여 태어날 땐 노인으로 죽을 때는 나이가 거꾸로 들어가는 벤자민 버튼(브레드 피트)이라는 남자의 특별한 삶에 대한 내용이다. 에피소드: 영화는 1918년 뉴올리언스에서 한 아기가 태어나는 것으로 시작된다. 벤자민 버튼은 일반 신생아와는 다르게 노인의 얼굴과 몸을 지닌 작은 생명체로, 심지어 온갖 질병을 가진채 태어난다. 그..
[영화리뷰] 오만과 편견 (PRIDE & PREJUDICE, 2006) 제목: 오만과 편견 (PRIDE & PREJUDICE, 2006) 개요: "오만과 편견"은 제인 오스틴의 동명 고전 소설을 원작으로 한 로맨틱 드라마 영화이다. 이 영화는 여러 번 각색되었지만 가장 잘 알려진 버전은 조 라이트 감독의 2005년 영화이며, 19세기 영국을 배경으로 베넷 가문과 다섯 딸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에피소드: 주인공으로는 지적이고 활기차며 독립적인 둘째 딸 엘리자베스 베넷(키이라 나이틀리)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베넷 가문의 유산은 남자 상속인만 물려받을 수 있다는 조건이 붙어 있어 자매들은 미래를 보장받기 위해 결혼을 잘해야 한다는 압박을 받으며 무도회에 자주 참석한다. 부유한 독신남 빙글리 씨(사이먼 우즈 분)가 인근 저택으로 이사를 오자 베넷 가문은 그가 딸 중 한 명과 결혼할..
[영화리뷰] 노트북 (The Notebook, 2004) 제목: 노트북 (The Notebook, 2004) 개요: 영화 "노트북"은 2004년에 개봉한 로맨틱 드라마 영화로, 닉 카사베츠 감독이 연출하고 니콜라스 스파크스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한 작품이다. 이 영화는 1940년대를 배경으로 노아 캘훈(라이언 고슬링)과 앨리 해밀턴(레이철 맥아담스)이라는 두 젊은이에 사랑 이야기를 담고 있다. 2004년에 개봉했던 노트북은 2016년에 재개봉했고 그해 재개봉작 중 흥행 1위를 기록한 작품이다. 에피소드: "노트북"의 첫 장면은 현재 시점으로 한 노인이 양로원에 있는 할머니에게 이야기를 읽어주는 것으로 시작하여 비선형적인 방식으로 전개된다 노인이 된 노아(제임스 가너)가 자신의 과거 이야기를 읽어주는데, 이 이야기는 가슴 뭉클하고 감동적인 추억 여행이다. 이야..
[영화리뷰] 나비효과 (Butterfly effect, 2004) 제목: 나비효과 (Butterfly-effect, 2004) 개요: 나비효과란 나비의 작은 날갯짓처럼 미세한 변화, 작은 차이, 사소한 사건이 추후 예상하지 못한 엄청난 결과나 파장으로 이어지게 되는 현상을 말한다. 이 용어는 현대 과학과 수학에서 많이 사용되는 개념 중 하나로, 주로 카오스 이론과 예측 불가능한 동적 시스템의 일부로 쓰이며, 작은 변화로 인해 장기적으로 큰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카오스 이론에서 모티브를 딴 영화 나비효과는 2004년 미국에서 개봉한 영화다. 애쉬튼 커쳐가 주연을 맡아 반복되는 그러나 동일 시간대가 아닌 루프물로서 일반 상영판과 감독판으로 나눠져 있고 엔딩 버전이 달라 전체적인 분위기와 영화 방향이 다르게 표현된다. 에피소드: 주인공 에반 트레본(애쉬든..
[영화리뷰] 내 머리 속의 지우개 (A moment to remember, 2004) 제목: 내 머리 속의 지우개 (A moment to remember, 2004) 개요: 젊은 나이에 알츠하이머라는 병에 걸려 기억을 잃어가는 여자 수진(손예진)을 지켜보는 남자 철수(정우성)의 안타까운 사랑을 그린 멜로 영화다. 2001년 일본에서 방영된 드라마 ‘나를 잊어도’를 원작을 각색한 대한민국 영화의 멜로 장르를 새롭게 쓰인 작품이다. 에피소드: 어릴 적 엄마에게 버림받고 대목장의 손에 길러져 운명처럼 건축가의 길로 들어선 철수와 부잣집에서 태어나 가족에게 유복한 사랑을 받으며 대기업 패션 사업부에서 사원으로 일하는 수진은 같은 회사의 상사인 유부남 영민과 사랑했지만 실연당한 상태다. 편의점에서 콜라를 사지만 계산만 하고 나가고, 다시 돌아간 편의점에서 콜라 캔을 들고 있는 철수와 마주치면서 이..
[영화리뷰] 태극기 휘날리며 (Brotherhood, 2004) 제목: 태극기 휘날리며 (Brotherhood, 2004) 개요: 2004년 개봉한 강제규 감독작 ‘태극기 휘날리며’는 6·25 전쟁으로 한 형제의 산산이 부서진 삶을 통해 전쟁의 비극을 그린 영화이다. 이 영화는 이진태(장동건)와 이진석(원빈)이라는 두 주인공으로 출연한다. 그들은 한국전쟁에 휘말린 형제들이다. 지금은 고인인, 이진태의 약혼자 영신(이은주)을 맡았다. 전장에 끌려간 형과 동생, 두 형제는 서로를 의지하는 마음으로 전쟁이라는 극한 상황 속에서 숱한 운명적 순간을 겪으며 살아남지만, 한때 매우 가까웠지만 한국 전쟁 중에 결국 반대편에서 싸우게 된 두 형제의 여정이 담긴 작품이다. 에피소드: 2003년 두밀령, 6·25 전쟁 참전용사 유해발굴 작업현장을 시작으로 이야긴 시작된다. 1950년 ..
[영화리뷰] 인생은 아름다워 (Life is Beautiful, 1997) 제목: 인생은 아름다워 (Life is Beautiful, 1997) 개요: 인생은 아름다워 영화는 1997년에 개봉한 이탈리아 영화로, 한국은 1998년에 개봉했다. 주인공인 귀도 오레피체(로베르토 베니니 분)라는 이탈리아계 유대인이 풍부한 상상력으로 나치의 유대인 수용소에서 가족을 구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영화는 장면마다 로맨틱 코미디와 슬랩스틱 코미디가 섞여 있다. 귀도는 젊은 유대계 이탈리아인으로 아레초에 도착하여 서점을 열 꿈을 가지고 잠시 웨이터 일을 하게 된다. 이때, 초등학교 교사인 도라(니콜레타 브라스키)를 만나 사랑에 빠져 결혼하게 되고, 몇 년 뒤 아들 조슈아(조르조 칸타리니)를 낳게 된다. 에피소드: 주인공 귀도는 로마로 이주한 유대인 남성으로 도라와 사랑에 빠져 결혼하여 조수아라..
[영화리뷰] 집으로 (The way Home, 2002) 제목: 집으로 (The way Home, 2002) 개요: 7살인 한상우(유승호)는 엄마의 피치 못할 사정으로 외할머니(김을분)가 사시는 충청북도 영동군의 산골로 오게 된다. 산골이 처음인 상우는 처음 마주한 외할머니를 싫어하고 외면하지만, 시장에서 짜장면 먹방씬 이후로는 차츰 마음을 열었다. 집으로 돌아가는 날이 가까워지면서 할머니에게 글씨 쓰는 방법을 알려드리고, 바늘구멍에 실도 꽂아주고, 대인배로 성장한 모습을 보여준다. 에피소드: 도시에서만 살던 상우는 시골에서 할머니와 함께 시간을 보내며 처음에는 낯선 환경에 적응하기 어렵다. 전자기기와 현대적 편의가 가득한 삶에 익숙해진 상우는 불만을 느끼고 짓궂은 행동을 한다. 그러나 그의 할머니는 전통적인 방식으로 소통을 할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장난..